아이를 키우다 보면 별의 별일이 다 생깁니다. 달려가다 넘어지는 일은 다반사고 서랍을 층층이 빼서 계단처럼 밟고 올라가기도 하고 좁은 틈에 들어가 끼었다고 울기도 합니다. 한 번은 유치원을 보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전화가 왔습니다. 아이가 친구랑 너무 신나게 놀다가 팔이 빠졌다는 것입니다. 놀란 가슴 부여잡고 부랴부랴 유치원에 뛰어가니 아파서 팔을 어찌하지도 못하고 팔 근처만 가도 자지러지게 우는 것입니다. 속상한 마음은 차치하고 아이를 안고 정형외과까지 뛰어갔습니다. 병원에서 탈구라고 진단하고 의사 선생님께서 단번에 팔을 제자리에 넣어 주었습니다. 아까까지는 자지러지게 울던 아이가 갑자기 울음을 멈추고는 병원 왔으니 아이스크림 사달라고 해서 헛웃음이 났던 기억이 있습니다. 오늘은 탈구란 무엇이고 이렇게 아이 팔이 빠졌을 때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탈구(Dislocation)란 무엇일까?
관절은 두 개 이상의 뼈가 연결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는 부분을 말합니다. 관절은 뼈 사이에 연결된 연골로 덮여 있습니다. 이 연골은 뼈의 마찰을 줄여주고 충격을 흡수하여 움직임을 부드럽게 만듭니다. 관절은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유연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걷거나 뛰거나 다른 활동을 할 때 움직임을 제어하고 지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탈구(Dislocation)와 탈골(Fracture) 은 달라요.
탈구는 관절 자체가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보통 관절을 이루는 두 개 이상의 뼈가 연결된 부분에서 일어나는 데 예를 들어 어깨 탈구의 경우 상완골과 견봉이라는 두 개의 뼈로 이루어진 어깨 관절이 제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간혹 탈골과 탈구를 같은 개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둘은 비슷해 보이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탈골은 뼈가 부러지거나 깨지는 상태를 가리킬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탈구는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관절이 제 위치에서 벗어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탈구가 일어난 상황에서는 관절 주변의 인대와 근육이 손상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 없이는 관절의 안정성과 기능이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탈구가 발생한 경우 즉각적인 의료 조치를 통해 관절을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려야 합니다.
탈구의 원인
탈구는 주로 관절을 둘러싼 조직인 인대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탈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외상
강한 충격, 낙상, 차량 사고 등의 외상적인 원인으로 인해 관절이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강하게 이동하거나 꺾이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스포츠 부상
고정된 자세에서 갑작스럽게 움직이거나 강한 충격을 받는 등의 스포츠 활동 중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공격적이고 고강도의 스포츠에서는 탈구의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3. 관절의 구조적 이상
일부 사람들의 경우 관절의 구조적인 이상으로 인해 탈구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관절이 과하게 유연하거나 인대가 약한 경우에는 일상적인 활동 중에도 탈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재발성 탈구
한 번 탈구를 경험한 사람은 다시 탈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는 관절 주변의 조직이 약해졌거나 손상되었기 때문입니다.
5. 유전적 요인
일부의 경우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탈구에 더 취약할 수 있습니다. 가족 내에서 탈구를 경험한 사람들은 탈구를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탈구의 증상
1. 관절 통증
탈구가 발생한 관절에서 강한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통증은 일상생활 활동이나 움직임에 의해 악화될 수 있습니다.
2. 관절 불안정성
탈구 후 관절이 불안정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관절이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면 주변 조직이 손상되어 관절이 불안정하고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3. 부종
탈구가 발생하면 관절 주변에 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종은 관절 주변 조직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며 부종이 일어난 부위는 붉은색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4. 운동제한
탈구가 발생한 관절이 비정상적인 각도로 움직일 수 있으며 통증과 불안정성으로 인해 움직이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상생활 활동이나 운동에 제한이 생길 수 있습니다.
5. 근육 약화
탈구로 인해 주변 근육이 손상될 수 있으며, 이는 근육의 약화와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탈구의 치료(대처방법)
탈구가 발생하면 즉각적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수건이나 붕대로 고정 후 병원을 빠르게 방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부상을 조기에 치료하면 장기적인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탈구의 치료는 탈구가 발생한 관절과 그 주변 조직의 손상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팔 빠졌다고 임의로 맞추지 마세요.
1. 관절의 재배치
먼저 탈구가 발생한 관절을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절의 재배치는 전문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므로 의료 전문가에 의해서 수행되어야 합니다.
- 수동 재배치 : 의료전문가가 손으로 관절을 다시 원래 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통증완화나 진통제 투여 후에 시행됩니다. 관절을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안 환자는 통증을 참고 견디어야 합니다.
- 폐쇄적 재배치 : 관절을 원래 위치로 되돌릴 때 의부도구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간단한 탈구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의료 전문가는 보통 특정 방향의 압력을 가해 관절을 움직이고 그 후에는 슬링과 같은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관절을 안정시킵니다.
- 개방적 재배치 : 관절을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 중에 외과적 절차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는 주로 심한 탈구나 관절 주변 조직의 손상이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외과적 절차 중에는 관절 주변의 손상된 조직을 복구하고 관절을 안정시키기 위해 핀이나 나사 등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압박 및 냉찜질
탈구 후 관절 주변에는 종종 부종이 발생합니다. 압박 밴드를 사용하여 부종을 줄이고 부종이 심한 경우에는 얼음이나 아이스팩으로 냉찜질을 하여 염증을 완화합니다.
3. 휴식
탈구가 발생한 관절은 휴식이 필요합니다. 관절을 안정시키고 부상을 치료하기 위해 활동을 제한해야 합니다.
4. 약물 치료
통증을 완화하고 염증을 줄이기 위해 진통제나 항염증 약물을 처방할 수 있습니다.
5. 물리치료
관절과 주변 근육을 강화하고 회복시키기 위해 물리치료가 권장될 수 있습니다. 이는 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하고 기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6. 수술
심각한 탈구 또는 반복적인 탈구의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주로 인대 또는 관절 주변 조직의 손상을 복구하거나 안정성을 회복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마치며
저도 어릴 적 사촌언니, 오빠들이 놀아준다고 팔을 잡고 빙빙 돌렸는데 그때 팔이 빠진 적이 있습니다. 아이들은 인대와 근육이 아직 완전히 성장하지 않았고 뼈와 관절이 성인에 비해 더 유연하여 쉽게 어깨나 팔이 빠질 수 있습니다. 그러니 팔을 잡아당기는 행동이나 갑자기 들어 올리는 행동은 주의해야 합니다.
탈구는 일반적으로 예방 가능한 부상입니다. 근육을 강화하여 관절을 지지하고 안정시키면 탈구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꾸준한 스트레칭으로 관절의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고위험 스포츠의 경우 탈구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보호장비를 착용하는 것도 좋으며, 평소에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관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여야겠습니다. 만약 탈구가 발생했다면 그 자리에서 억지로 관절을 맞추려 하지 말고 병원을 바로 방문하여 즉각적인 의료조치를 받아야겠습니다. 빠진 팔 관절을 억지로 끼우려 하면 통증이 더 심해질 수도 있고 부상을 악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가능한 빠르게 의료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겠습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
'팔팔한 하루의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신 제거 : 레이저시술, 레이저시술 비용, 시술 횟수, 레이저 제거원리 (183) | 2024.06.14 |
---|---|
손 거스러미 : 조갑주위염, 원인, 증상, 치료, 예방 (130) | 2024.06.13 |
전치태반 :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제왕절개, 출혈 (125) | 2024.06.11 |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 : 원인, 특징, 진단기준, 치료방법, 자폐스펙트럼장애 (133) | 2024.06.10 |
남은 약, 유통기한 지난 약 제대로 버리기 (182) | 2024.06.07 |